개념학습의 모형2(상황모형, 일반화와 이론의 학습)


개념학습의 모형2(상황모형, 일반화와 이론의 학습)

1. 상황모형 1) 의미 (1) 어떤 사회적·문화적 환경에서 학생이 직접 겪은 경험이나 기대, 행동 등을 중심으로 개념을 가르치려 하는 개념 학습 방법임 (2) 문화에 따라서 인지적 활동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강조함(문화상대주의 입장) (3) 사회과에서는 정치, 경제, 문화에 관한 많은 개념이 취급되는데 이러한 개념들은 그 사회의 특정한 역사적, 문화적 전통과 현실을 무시하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움(ex.

보리밥. 기성세대는 가난의 상징, 현세대는 건강식으로 인식) 2) 교수-학습 단계 (1) 문제제기 (2) 상황 및 경험의 진술 (3) 예와 예가 아닌 것 제시 (4) 속성 검토 (5) 개념분석 (6) 관련문제 검토 (7) 평가 3) 장점 사회과의 정치, 경제, 사회문화와 관련된 여러 개념을 역사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됨 4) 단점 (1) 추상화와 일반화를 하고 개념의 보편성을 이해하는데 제한이 있음(특정한 사회의 상황과 역사를 다른 모든 사회의 ...



원문링크 : 개념학습의 모형2(상황모형, 일반화와 이론의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