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사기 후폭풍은 결국 월세 상승으로 귀결된다


전세 사기 후폭풍은 결국 월세 상승으로 귀결된다

전세 사기의 후폭풍 : 월세 과도화 올해 서울과 경기도 빌라의 월세 비중이 절반을 넘겼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전월세 12만 7,111건 중, 월세 거래가 53.6%(6만 8,116건)에 달했으며, 경기 지역의 월세 비중도 51.6%를 기록했다.

이렇게 월세의 비중이 높아진 이유는 결국 전세 사기로 인한 전세 포비아가 확산된 것 때문으로 보인다. 지난 9월 기준, 전세 사기 피해 규모는 2조 4,963억 원에 달하고, 피해자 수도 1만 6천 명을 넘겼다.

전세 보증보험 가입이 어렵고 전세 사기에 취약한 다가구 주택은 특히나 매물이 더 많이 쌓이는 추세로 금리 인상으로 인해 전셋값은 하락하고 물량은 늘어나는 가운데 전세 수요는 감소하는 역전세난의 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다가구 주택의 경우 거주하는 세대는 여럿이지만 소유주는 한 명이다.

다른 호실 계약이 어떤 형태인지 파악하기 어렵기에 계약 시 자신의 보증금보다 먼저 돌려줘야 하는 보증금이 있는지를 알 수 없다...


#기업형장기민간임대주택 #조건부전세대출 #전세사기 #전세보증금 #전세 #유주택자전세대출 #월세상승 #역전세 #빌라 #대출규제 #다가구주택 #주거용임대시장

원문링크 : 전세 사기 후폭풍은 결국 월세 상승으로 귀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