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사회 개혁론의 대두


새로운 사회 개혁론의 대두

1. 성리학의 변화 1) 성리학의 절대화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대의명분 강조, 주자 중심의 성리학 이외의 사상을 배척함 2) 성리학에 대한 비판 (1) 박세당, 윤휴 등이 유교 경전에 대한 독자적 해석을 시도함 (2) 박세당은 사변록을 통해 주자의 경전 해석을 비판함 (3) 사문난적으로 몰림(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의미) 3) 호락논쟁 (1) 충청도 지역의 호론, 서울+경기 지방의 낙론 사이의 논쟁 (2) 호론 = 인물성이론, 인간과 사물의 본성은 다르다, 위정척사 사상에 영향 (3) 낙론 = 인물성동론, 인간과 사물의 본성은 같다, 북학파와 개화사상에 영향 4) 양명학의 수용 (1) 성리학의 절대화와 교조화 비판(어떠한 상황에서도 절대로 변하지 않는 진리처럼 믿고 따르는 것) (2) 지행합일의 실천성을 강조 (3) 정제두가 양명학을 연구하여 강화학파 형성의 기초를 마련함 2.

실학의 발달 1) 배경 (1) 성리학의 절대화에 대한 반발 (2)...



원문링크 : 새로운 사회 개혁론의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