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민왕의 개혁 정치와 고려의 멸망


공민왕의 개혁 정치와 고려의 멸망

1. 원의 내정간섭 1) 관제와 왕실 호칭 격하 (1) 2성 6부에서 1부 4사로 격하(중서문하성이 첨의부로 격하됨) (2) 국왕 묘호에 `충`자를 사용(충렬왕, 충선왕 등) 2) 정동행성 설치 (1) 원나라가 일본 원정을 위해 설치(군대와 물자 강요) (2) 부속 기구인 이문소를 통해 고려 내정간섭 3) 다루가치 파견 원나라 관리인 다루가치를 감찰관으로 파견 4) 영토상실 원나라가 쌍성총관부, 동녕부, 탐라총관부 설치 2.

원의 내정간섭 영향 1) 응방 설치(매 수탈), 특산물 수탈, 공녀 차출(결혼도감을 통해 공녀가 징발됨) 2) 몽골풍 유행 = 변발, 호복, 족두리, 연지 등 3) 성리학 전래(인간의 심성과 우주의 원리를 탐구) 3. 권문세족의 성장 1) 원나라의 세력을 배경으로 고위 관직 장악(도평의사사 장악) 2) 불법적인 토지 침탈로 대농장 경영(왕권약화, 국가재정궁핍, 농민생활빈곤) 4.

원 간섭기의 개혁 노력 1) 충렬왕 (1) 전민변정도감 설치 = 권문세족이 약탈한 ...



원문링크 : 공민왕의 개혁 정치와 고려의 멸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