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이 문제를 평가하는 방법과 선호하는 해결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우리 대부분이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이러한 프레임 효과는 '무지방 99%'라는 라벨이 붙은 요거트와 '지방 1%'라는 라벨이 붙은 요거트의 건강상의 이점을 평가하도록 사람들에게 요청하면 쉽게 알 수 있다.
평균적으로 사람들은 무지방 99% 요거트가 1% 지방 요거트보다 더 건강하다고 생각하지만, 두 라벨 모두 같은 종류의 요거트를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프레임 효과는 불평등 증가에 대한 우리의 태도와 같은 더 중요한 사회적 발전에도 작용한다는 사실이 네이처(Nature)지의 한 연구에서 명쾌하게 입증되었다.
예를 들어, 한 실험에서는 34개국 32,000명에게 자국의 빈곤이 상황적 원인(사회의 전반적인 불공정성) 때문인지 행동적 원인(가난한 사람들은 게으르거나 가난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과 의지가 부족하다)에 기인하는지를 평가하도록 요청했다. 그런 다음 참가자들에게 각국의 소득 격차가 더 커...
#JOACHIMKLEMENT
#미국
#불평등
#빈곤
#상황적원인
#안재현
#유럽
#프레임
#행동적원인
원문링크 : 프레임의 중요성 : 불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