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는 현재 대학 진학률이 90%가 넘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이 대학생이 된다. 또한 대학이 취직 여부를 나눌 만큼 학력주의가 심하다.
물론 어느 직군이든 똑똑하고 일 잘하는 사람을 채용하고 싶은 것은 사실이다. 그 기준이 대학교인 것도 더 용이하게 사람을 골라내기 위해서라면 그 의도가 나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러한 학력주의가 특정 집단만이 경제적 이득을 취하게 만드는 구도를 유지시키는 데 일조한다는 점에서 타파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좋은 대학교에 진학하기 위해서는 질 높은 수업이 보장되는 것은 물론 입시 정보 또한 필요하다.
문제는 이것이 전국에 있는 많은 학생들에게 공평하게 주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미 불평등이 시작된다. 그렇다면 결국 이미 경제적 여유와 지리적 이점을 지니고 있는 사람들은 좋은 대학교에 쉽게 진학이 가능하고 그 후 더 좋은 취직자리를 더 쉽게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학력주의는 부의 재분배를 막고 불평등을 지속시킨다. 또한 성인이 된 직후인 20대 초반...
#한국의학력주의사회
원문링크 : 한국의 학력주의 사회, 무엇이 문제인지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