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유물] 유교의 국가 조선의 "오륜행실도" [우리유물] 유교의 국가 조선의 "오륜행실도"](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zEwMTRfMjU5/MDAxNjk3MjY4MzkwNjE0.yK78R1H5wx5QmmiEfIWBbUAIRzIqcEE4KNTBWUPXu5Qg.UKoeCVc7o8h4-u1HEXUL56Vz0rB-RSYBmSdBWdpDSVYg.JPEG.tjgusrms7080/KakaoTalk_20231014_161003650.jpg?type=w2)
조선은 유교의 나라였습니다. 특히, 전국의 백성들에게 삼강오륜(三綱五倫)의 이념을 보급하고자 했습니다.
삼강은 임금과 신하(君爲臣綱), 어버이와 자식(父爲子綱), 남편과 아내(夫爲婦綱) 사이에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이었습니다. 오륜은 부자유친(父子有親), 군신유의(君臣有義), 부부유별(夫婦有別), 장유유서(長幼有序), 붕우유신(朋友有信)으로, 부모와 자식, 임금과 신하, 남편과 아내, 어른과 어린이, 친구 간의 인간관계에서 마땅히 지켜야 할 실천덕목이었습니다.
조선의 지배층은 삼강오륜의 실천이 민간 풍속을 교화하는 최선책으로 보았습니다. 삼강오륜의 윤리를 널리 확산시키는 방법 중 하나는 관련 서적의 보급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삼강오륜을 과거의 여러 인물이 어떻게 실천했는지를 글로 기록하고[行實], 그 내용의 일부를 그림으로 표현하여[圖] 결합시킨 행실도(行實圖)의 편찬이 이어졌습니다. 우선 1434년(세종 16) 세종은 『삼강행실도』를 편찬하였습니다.
『경국대전』에서는 『삼강행실도』...
#역사
#형제
#한국사
#친구
#충신
#조선
#정조
#유교
#오륜행실도
#오륜
#열녀
#효자
원문링크 : [우리유물] 유교의 국가 조선의 "오륜행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