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선농단 다녀오다.


서울 선농단 다녀오다.

선농단에 관한 기록은 신라시대로 신라에 중국의 제례 제도가 들어온 뒤부터 나타나지만, 국가제사로 완전히 정착하기는 조선시대부터다. 이곳은 조선시대 왕이 풍년을 기원하며 농사와 곡싯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백성의 고충을 이해하는 애민사상이 담겨있는 상징적 장소이다.

우리나라의 선농제는 삼국 신라시대 때부터 행해졌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부터 이미 농사의 삼신(三神), 즉 선농과 중농, 후농에 제사를 지내는 등 선농제향을 행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고려시대에도 선농제는 행해졌는데 중국 의식을 따라 정월 해일에 적전(籍田)에서 신농씨와 후직에게 제사를 지냈다. 성종 2년(983) 정월 신미일에는 환구단에서 기곡제를 지내고 같은 달 을해일에 적전에서 제사를 지내고 친경례를 거행하였다.

그러나 고려시대는 전반적으로 불교나 팔관회와 같은 고유 전통에 의존하는 바가 컸기 때문에 이 시대의 선농제는 극히 제한된 상황에서 시행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유교 예법에 의거한 선농제가 국가의 주요 전례...


#선농단 #선농단역사문화관 #역사 #역사문화관 #일상 #일상블로그

원문링크 : 서울 선농단 다녀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