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호수 벨 누르며 “절단된 채 살아남은 김용균들”을 찾다


모든 호수 벨 누르며 “절단된 채 살아남은 김용균들”을 찾다

[인터뷰] 청년 산업재해와 중장해인 주목한 ‘살아남은 김용균들’ 한겨레 탐사기획팀 “죽은 자와 산 자 사이, 그 경계선에서 죽을 때까지 고통받는 삶이 있다. 김용균씨처럼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무리하게 일하다 원청 또는 회사의 부주의로 재해를 당해 죽음의 문턱까지 간 청년 노동자들이 살아갈 날은 50~60년 이상 남았다.”

(한겨레 탐사기획팀 취재진) 한겨레가 최근 ‘살아남은 김용균들’ 기획기사를 통해 치명적인 산업재해로 장애나 질병을 얻어 노동력을 100% 상실한 중장해인(장해 1∼3급) 중 20~30대 청년 187명(2022년 4월 기준)의 이야기를 조명했다. 지난 15일 서울 공덕 한겨레 사옥에서 한겨레 탐사기획팀 정환봉, 장필수, 김가윤 취재기자와 이화섭 미디어기획부장, 백소아 사진기자를 만나 청년 노동자들의 목소리에 귀기울이게 된 이야기를 들었다.

“다친 채로, 절단된 채로 가장 오래 살아야하는 세대 주목해” “‘절단방’이라는 단체 카카오톡방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됐다. 그 카톡...


#산업재해 #제2김용균 #중장해인

원문링크 : 모든 호수 벨 누르며 “절단된 채 살아남은 김용균들”을 찾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