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자유주의. 국제레짐이론 > 1.
현실주의와 마찬가지로 국가는 국제정치에서 합리적인 행위자로 보며, 무정부 상태가 국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봄 2. 무정부 상태로 인해서 국가들의 상호 간에 약속이행의 불확실성이 존재 3.
상호주의. 무정부 상태의 불확실성을 상호주의를 통하여 감시와 비협력적 태도에 대한 제재를 하여 국제협력을 도출함 4.
국제레짐. 국제제도의 도움에 의해 국가이익을 재정의하게 되어 국가 간의 협력이 가능하게 됨(자유주의의 기본 논리) 5.
국가들은 절대적 이익을 추구하는 합리적 행위자로 무정부성에서 오는 안보위협이 국가 간 협력을 저해할 정도로 크지 않다고 봄 < 구성주의. 웬트 > 1.
주체(국가)와 구조는 상호구성적인 관계로 구조는 고정적이지 않고 관계 등을 통해서 구성됨 2. 신현실주의는 국가 중심의 환원주의일 뿐이라고 비판함 3.
세계체제론은 자본주의 체제만을 구조의 속성으로 도출하여 구조를 물신화시키는 오류를 범한다고 비판함 4. 구성주의의 특징 ...
원문링크 : 국제정치 패러다임3(신자유주의. 구성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