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제. 탈관료제


관료제. 탈관료제

1. 관료제 1) 특징 (1) 서열화 (2) 분업화 (3) 표준화(규칙에 따른 업무) (4) 기회균등(지위획득의 기회가 공평) (5) 연공서열 중시(경력에 따른 보상 중시) 2) 순기능 (1) 분업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음 (2) 업무처리가 표준화되어 있어 구성원이 바뀌어도 안정적인 조직 운영이 가능함 (3) 정해진 규칙에 따른 업무가 이루어져 업무의 안정성과 지속성이 높음 (4) 조직 구성원의 역할이 명확하기 때문에 공정성이 유지되어 조직 내 갈등을 줄일 수 있음 3) 역기능 (1) 목적전치현상 관료제의 규칙이 목표를 위한 수단이라기보다는 목표 자체가 되는 현상 (2) 의례주의와 형식주의 규정과 절차에 따른 업무처리는 원활하지만 예기치 못한 문제 등에 대한 대처를 제대로 하지 못함 (3) 권력의 집중에 따른 비효율(과두제의 폐해) 상급자가 권력을 독점하여 명령하는 구조로 소통과 협의를 통한 합리적인 의사 결정이 어려움 (4) 인간소외 현상 (5) 무사안일주의 신분보...



원문링크 : 관료제. 탈관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