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탈이론. 낙인이론. 비판범죄론


일탈이론. 낙인이론. 비판범죄론

1. 낙인이론(베커.

레미트) 1) 의미 특정 행위가 일탈이라는 것은 사회 또는 다른 사람이 그 행위에 대해서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달려 있다고 주장(일탈은 사회적 정의의 산물) 2) 낙인이론은 갈등론과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입장을 모두 내포함 (1) 갈등론은 사회구조를 통해 일탈을 분석 (2) 상징적 상호작용론은 사회적 과정을 통해 일탈을 분석 3) 베커 일탈자라고 낙인 된 사람들은 일탈자라는 지배적 지위를 부여받게 되어, 일반 사람들은 일탈자가 일반적인 행동을 할지라고 일탈자라는 한 가지 특성만 가지고 해석하려 하게 됨 4) 레머트 (1) 원초적 일탈(1차적 일탈) 경미하고 일시적인 일탈로 쉽게 감추어짐 (2) 2차적 일탈 일탈자로 낙인 찍혀 낙인을 받아들이게 되어 반복적, 습관적, 지속적인 일탈을 행하는 것 (3) 3차적 일탈 일탈자가 일탈행동을 정상적인 것이라고 재낙인하는 단계로 자신의 일탈을 정상화하려는 것 5) 낙인이론에 대한 비판 (1) 낙인이 없으면 일탈도 없다는 식의 지...



원문링크 : 일탈이론. 낙인이론. 비판범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