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불교와 민간 신앙 1) 정도전 = 불씨잡변을 지어 불교 비판 2) 조광조 = 소격서 폐지(도교행사를 주관하는 기구) 2.
훈민정음 창제 1) 세종이 집현전 학자들과 연구하여 반포 2) 삼강행실도(백성 교화), 용비어천가(왕실의 정통성 강조) 3. 편찬사업 1) 역사서의 편찬 (1) 동국통감(성종) = 고조선(단군)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정리 (2) 조선왕조실록 - 사초, 시정기 등을 바탕으로 실록청이 편찬 - 연대순으로 기록하는 편년체로 서술 - 태조부터 철종까지 기록 - 춘추관 관원들이 편찬 업무에 참여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2) 지도와 지리서의 편찬 (1) 혼일강리역대국도 지도(태종) 동양최고의 세계지도 (2) 동국여지승람 (성종) 각 도의 지리, 풍속 등이 수록 3) 윤리와 의례서와 법전의 편찬 (1) 삼강행실도(세종) (2) 국조오례의(성종) (3) 경국대전 - 세조 때 편찬 시작하여 성종 때 완성 - 이·호·예·병·형·공전의 6전 체제로 구성 (4) 해동제...
원문링크 : 조선 전기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