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 신사회과 운동 이후 ~ 80년대의 사회과교육 1) 신자유주의와 보수주의가 팽배한 시기 2) 분과 중심의 교육이 강조됨 3) 기초 복귀운동을 통해 전통적 역사교육이 강화됨 4) 중요한 교육적 담론으로 다문화교육이 등장함 (1) 학생들이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올바른 사회인식과 평등한 사회 구현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주장함 (2) 반면에 다문화교육이 차이와 갈등을 강조하기 때문에 사회적인 분열을 초래한다는 비판도 제기됨 7. 1990년대 이후의 사회과교육 1) 이 시기의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배적인 추세는 표준화임 2) 국가의 위기 보고서가 출간된 이후에 표준중심 교육개혁이 나타남 3) 1994년에 미국 사회과교육학회(NCSS)에서 핵심주제 스트랜드 10가지를 발표하고 고부담시험을 실시하여 표준에 따라 학업성취 정도를 평가하였음 4) 2002년에 부시 대통령이 전원성취법이라는 초중등교육법의 개정안에 서명하여 교육과정의 표준화 움직임이 정점에 다다름 5) 2013년에 오바마 행정부에서 ...
원문링크 : 미국 사회과 교육의 탄생과 발달과정(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