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비변사의 기능 강화 1) 외적에 대비하기 위해 처음으로 설치 2) 군사와 관련한 사항을 합의하여 처리 3) 명종 때에 을묘왜변을 계기로 상설 기구로 변화 4)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국정최고 기구로 부상 5) 세도 정치기에는 외척 세력의 권력 기반이 됨 2.
군사제도의 변화 1) 중앙군의 개편 = 5군영의 완성 2) 훈련도감 (1) 유성룡의 건의에 따라 임진왜란 중에 설치 (2) 포수, 사수, 살수의 삼수병으로 편제 (3) 급료를 받는 상비군이 주축 3) 인조 때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설치하여 후금과의 항쟁 대비 3. 붕당 정치의 전개 1) 선조 (1) 이조 전량 임명과 척신정치 청산문제를 계기로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뉨 (2) 정여립 모반사건 - 동인이 공격당하고 서인이 집권하게 됨(기축옥사) -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분당하게 됨 (3) 선조 때 왕세자 책봉 문제 - 서인의 입지가 약화됨 2) 광해군 (1) 북인이 서인과 남인을 배제하고 권력장악 3) 인조 (1) 인조반...
원문링크 : 조선 통치 체제의 변화와 붕당 정치의 전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