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요즘 사회성이 나락 간 사람들이 늘어난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그런 식으로 사람들을 대해도 상관없도록 성장해 왔기 때문이 아닐까? 현대 사회에서 부모들이 아이를 대하는 방식 중 하나는 바로 ‘편집증적 과잉보호’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일부 부모들은 아이가 마주할 수 있는 작은 위험조차 감수하려 하지 않는다. 아이가 다칠 수 있는 놀이는 물론, 감정적으로 상처받을 수 있는 상황까지도 미리 차단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부모의 과도한 보호 아래에서 자란 아이들은 아프지 않고, 불편하지 않으며, 늘 보호받는 상태에서 성장한다. 이런 것들이 겉으로 보기엔 완벽한 환경처럼 보일지도 몰라도, 그런 보호가 결과적으로 아이를 약하고 사회성조차 낮아지게 만든다는 것을 아는 부모는 적을 것이다. 2 아이들을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부모의 마음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 보호의 상한선은 어디일까? 일부 부모들이 주장하는 심리적 안전의 개념은 이제 ‘불편한 감정을 경험하지 않을 권리’로 확장되었다....
#과잉보호
#기분상해죄
#부모
#사회성
#사회성결여
#사회성나락
#아이
#자립심
#편집증
원문링크 : 요즘 사회성이 나락 간 사람들이 늘어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