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어 학습에서 실제성을 가진 실생활 자료는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이를 통해 학습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으며 실제적 대화의 특징을 보여줌으로써 자연스럽고 조직화된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실제적 언어 상황의 듣기 자료는 한국어의 구어적 특징으로 인해 축약이나 말 줄임 등의 변형이 나타나고 담화와 화용론적 특성으로 인해 머뭇거리거나 수정, 중복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등 담화 화제의 생략 현상이 일어나기도 하며 강세와 리듬, 억양에 따른 운율적 특징과 발화 속도에 의해 초급 학습자는 쉽게 이해할 수 없는 자료로 구성될 수밖에 없다.
또한 사투리나 관용적 표현, 은어 등은 한국 생활에 익숙한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만이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난이도를 고려하여 실제성을 가진 듣기 자료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초급 단계의 듣기 자료에도 실제성을 담을 수는 있지만 실제의 담화를 그대로 제공하기보다는 학습자의 수준과 듣기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계획된 실제성을...
#초급학습자를대상으로한듣기자료선정
#한국어학습
#한국어학습에서실제성을가진실생활자료
원문링크 :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듣기 자료 선정에 있어서 실제적 언어 상황의 자료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지, 만약 적절하지 않다면 어느 단계가 적절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