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유아기 영상물 노출은 주로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노출이라고 볼 수 있다.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노출은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먼저 응급 시에 오락 활동을 아이에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공공장소 등에서 아이가 짜증을 내거나 소리를 지르려고 할 때 스마트 미디어를 아이에게 쥐여주면 아이는 그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그래서 남에게 피해를 주는 행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조기 읽기가 가능하다는 측면도 있다. 교육적인 앱은 영유아가 한글이나 알파벳을 익히는 것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반대로 단점도 많다. 스마트 미디어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에서 가장 주목해 보아야 할 점은 바로 '중독'이다.
스마트 미디어 중독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스마트 미디어에 지나치게 장시간 집중하고 집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는 스마트미디어 중독으로부터의 증후군 발생인데 우울증, 손목 터널 증후군, 안구건조증, 충동 조절 장애, 거북목, 수면장애, 팝콘 브레인 등이 그에 속한다.
이처럼 스마...
#스마트미디어중독
#영상물과다조기노출급증
#영상물노출은아이들의성장발달에미치는영향
#영유아기영상물노출
#영유아의스마트폰사용
원문링크 : 영상물 과다 조기 노출이 급증하고 있는 4차 산업 사회에서 영유아기 영상물 노출은 아이들의 성장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될지에 대해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