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우리나라는 학교에서 주기적인 봉사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학급마다 돌아가면서 교내나 교외를 청소하면 봉사활동 시간이 주어진다.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는 봉사활동의 단점은 학생들이 봉사를 하는 데 있어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학교라는 공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주로 청소에 치중된 봉사활동만이 주어진다.
따라서 학생들이 다양한 봉사활동을 해서 자아를 실현하고 보람을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들이 어떤 봉사활동을 원하는지 미리 수요를 조사해 보고 학교 근처에 있다.
사회복지회관과 연계를 통해서 학생들의 봉사활동을 지원해 주어야 한다. 또한 교내에 봉사활동 동아리를 만들고 선생님을 한 명 배치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곳을 봉사활동을 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동아리를 통해서 학생들은 집 짓는 봉사활동이나 초등학생 학습 봉사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며, 교사로부터 봉사활동을 하면서 도움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청소년지도방법중봉사활동지도방법 #학교현장에서봉...
#청소년지도방법중봉사활동지도방법
#학교현장에서봉사활동한계점
원문링크 : 학교 현장에서 이뤄지는 봉사활동의 한계점에 대해서 논해보고, 그 극복방안에 대해 자유롭게 생각해보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