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정서행동장애의 유형에 있어서 특수교육과 관련된 연수 혹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정서행동장애에 관련한 인식이 더욱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교육현장에서도 효율적으로 정서장애 아동을 선별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결국, 정서행동장애 아동들에 관련한 부정적인 인식은 학령기 학생들의 정서행동에 대한 문제를 제대로 지도해 주지 못하며 그대로 방치하여서 발달에 영향을 주게 된다면, 아동 본인에게도 커다란 불행일 뿐 아니라 사회적이나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손실인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능한 한 미리 그들이 어떤 정서행동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혀서 아동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나 교육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줄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교육현장에서 정서장애 아동을 선별할 수 있는 교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역할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현장에서정서행동장애아동을선별하기위한교사의역할 #정서행동장애의유형...
#교육현장에서정서행동장애아동을선별하기위한교사의역할
#정서행동장애의유형
원문링크 : 교육현장에서 정서행동장애 아동을 선별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