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은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을 베이스로 하고 있고 아동이 도덕적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서 어떠한 논리를 사용하는지를 관찰하였는데 도덕적 사고를 크게 3가지 수준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전인습관 도덕 사고이다.
전인 습관 도덕 사고는 외부의 보상이나 처벌에 근거하여 도덕적 판단을 한다고 강조하였다. 전인습적 도덕 사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눈다. 1단계는 타율적 도덕 단계와 2단계는 개인주의 단계(상대적 쾌락주의)로 나눌 수 있다.
두 번재 수준은 인습적 수준으로 타인이나 관습 등의 외부요인에 의해 규정된 도덕관에 대해 내면화한 시기이다. 이 수준도 역시 3단계(대인적 기대 단계)와 4단계(사회 시스템 도덕 단계)로 나눌 수 있다.
마지막으로는 후 인습적 수준으로 인간의 도덕적 가치를 완전히 내면화하여 외부 기준이 필요 없는 시기이다. 후 인습적 수준도 5단계(개인 권리 및 사회계약 단계)와 6단계(보편적 원칙 단계)로 나눌 수 있다.
자녀의 도덕성 발달을 위해서는 ...
#개인주의단계
#대인적기대단계
#자녀의도덕성발달가정부모의역할
#전인습적도덕사고
#콜버그의도덕발달이론
원문링크 : 콜버그의 도덕발달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자녀의 도덕성 발달을 위하여 가정에서 부모의 역할에 대해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