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이 사회복지사라면 다음 사례를 보고 1차적으로 어떤 부분에 더 초점을 둘 것인지, 어떤 점에서 그러한지를 토론하시오.


여러분이 사회복지사라면 다음 사례를 보고 1차적으로 어떤 부분에 더 초점을 둘 것인지, 어떤 점에서 그러한지를 토론하시오.

다음 사례에서 사회복지사는 부모 체계의 강화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 부부간 관계 개선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 아니면 가정폭력 피해를 당하고 있는 아내의 복지에 초점을 두어야 하는가? 기본적으로 복지라고 하는 것은 가장 필요한 사람들에게 제공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그렇다면 본인의 개인적인 생각에 따라서 지금 가장 도움이 필요한 곳은 바로 가정폭력의 피해를 당하고 있는 아내가 아닐까 생각한다. 예를 들어서 보았을 때 부모 체계의 강화에 초점을 두게 되거나 혹은 부부 사이의 관계를 개선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면 그 과정에 있어서 이미 피해를 받아 개인의 삶이 망가진 아내가 과연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인지 의문이 든다.

물론 부부 체계나 부모 체계 등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개인의 삶을 보장하지도 못한 상태에서 과연 조금 더 넓은 범위라고 할 수 있는 부모와 부부에게 적절한 개입을 할 수 있을 것인가 의문이 들기...


#가정폭력피해당하고있는아내의복지초점 #부모체계의강화에초점 #부부간관계개선초점

원문링크 : 여러분이 사회복지사라면 다음 사례를 보고 1차적으로 어떤 부분에 더 초점을 둘 것인지, 어떤 점에서 그러한지를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