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 유아들이 보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 교사들은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경력 교사들은 다양한 경우의 수를 알고 있겠지만 초임 교사들은 현장에서 적잖이 당황할 것이다.
특히 장애 유아들의 행동은 일관성 없이 특이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어떻게 긍정적으로 지원해야 할 지가 관건이다. 다양한 각도의 긍정적인 지원책의 목적을 살펴보면 첫째, 학교 차원의 지원은 1차적 지원 단계로, 학교 전체 교직원 및 학생을 지원이며 보편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규칙 위반과 문제행동을 보이는 10%- 15%의 학생과 학급 대상의 추가적인 지원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개별 차원의 집중적인 행동 지원이다. 1차, 2차 지원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또는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는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개별화 및 강도 높은 행동 지원을 제공하는 3차 지원 단계이다. 이는 개별화 교육계획에 의해서 개별화 행동 지원계획을 포함해서 목표를 세워야 한다.
#장애유아가보이는바람직하지않은행동 #긍정적행동지원의목적...
#긍정적행동지원의목적
#장애유아가보이는바람직하지않은행동
원문링크 : 장애유아가 보이는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 실시할 수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의 목적에 대하여 토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