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산층은 상류층과 하류층의 중간 집단입니다. 중산층은 한자로 中産層, 영어로는 middle class라고 부릅니다.
한자에서 알듯이 중산층은 중(中)간 정도의 재산(産)을 가진 계층(層)을 뜻합니다. 엄청 잘 살지도 않고 못 살지도 않는, 평균적인 자산을 보유한 계층입니다.
그렇다면 어느 정도의 재산을 가져야 중산층이 될 수 있을까요? 중산층의 기준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아래에서 중산층의 자산과 소득 기준 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OECD 기준 중산층 경제협력개발기구인 OECD에서 정한 중산층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중위소득의 75~200% 중위소득은 국민을 소득 순으로 줄세워서 그 중 제일 가운데 있는 사람의 소득입니다.
즉, 100명 중에 50번째로 돈을 많이 버는 사람의 소득인데요, 이 사람 소득의 75%에서 200%를 벌고 있다면 중산층에 해당됩니다. 중위소득은 가구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작년과 올해 1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은 2022년 194만원, 올해 207만원입...
#대한민국중산층
#대한민국중산층기준
#우리나라중산층
#우리나라중산층기준
#중산층
#중산층기준
#중산층뜻
#중산층소득기준
#중산층자산기준
원문링크 : 중산층 뜻, 대한민국 중산층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