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에서 공인중개사로 일하는 손모(64)씨는 매년 3,880만 원의 간병비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18년 전 교통사고와 의료사고로 아들이 ‘세미 코마’ 상태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간병비는 2007년 하루 6만 원에서 올해 15만 원으로 두 배 이상 올랐고 식비까지 포함하면 한 달에 500만 원가량이 듭니다.
손씨는 “간병 가족은 ‘간병’이라는 병에 걸린다”며 경제적·정서적 고통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1. 간병비, 연 10조 원 시대…사회적 과제로 부상 한국은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이 부담하는 사적 간병비는 2023년 기준 10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하루 평균 간병비도 2018년 8만 2,000원에서 2024년 12만 7,000원으로 50% 이상 급등했습니다.
국민 96%가 간병비 부담을 “매우 크다”고 답할 만큼, 간병비는 ‘간병파산’ ‘간병지옥’이라는 신조어까지 낳으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2. 정부·정치권, 간병비 급여화 논의 ...
원문링크 : 치솟는 간병비, 초고령사회의 해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