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 기준연령 논의 위한 범부처 협의체 출범 고령화 따른 복지 지출↑…2072년 GDP 12% 신체 능력도 향상…기대여명도 83.5세로 증가 정년 퇴직 후 소득 공백 따른 노인빈곤 우려도 "정년연령 상향·임금피크제 등도 함께 논의해야" [수원=뉴시스] 김종택 기자 = 지난달 28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 광장에서 열린 '노인일자리 채용한마당'을 찾은 어르신이 취업지원 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2025.03.28. [email protected] 정부가 '만 65세'인 현재의 '노인' 연령 기준을 올리기 위해 범부처 회의에 착수했다. 빠른 고령화 속도에 따라 복지 지출이 급증하는 한편 기대수명이 늘어나는 점을 고려, 각종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나이 기준 상향 논의가 불가피하다는 판단이다.
하지만 일자리나 국민·기초연금 수급 공백으로 노년기 빈곤이 악화할 수 있고 지하철 무임승차, 공공시설 무료 이용 등 노인 복지 축소에 따른 반발도 있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이런 이유로 노...
원문링크 : 노인의 기준 '65세', 44년 만에 올라가나…연금·일자리 '과제 수두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