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깨동무를 한 다정한 모습의 아빠, 엄마와 그 무릎에 앉아 있는 어린 남매. ‘화목한 가족’의 모습을 표현한 조각상은 여느 아파트 단지에서나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이렇듯 우리 사회는 부모와 자녀 2명으로 구성된 4인 가구를 전통적인 가족상으로 여겨 왔습니다. 하지만 통계청이 공개한 자료를 보면 앞으로 30년 후면 그 정의도 바뀔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료에 따르면 2050년 우리나라 4인 가구는 15.8%에서 6.2%로 대폭 감소하고, 1인 가구의 비중이 31%에서 40%에 가까워질 전망입니다. 이유는 결혼 인식 변화에 따라 20~30대가 결혼을 하지 않는 ‘비혼’이나 결혼을 하더라도 ‘무자녀 가족’을 택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실제 조사에서도 20대 53%가 비혼 독신과 무자녀 등 전통적인 가족 형태를 벗어난 가족 개념에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대전 유성구에 사는 결혼 3년 차 A씨(33)도 남편과 상의한 끝에 아이를 낳지 않기로 했습니다.
“둘이 ...
#1인가구
#고독사
#독거노인
#사회복지
원문링크 : 4인 가구 줄고 1인 가구 늘어나는 대한민국...30년 뒤면 고독사 많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