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그람시의 시민사회이론 1) 사회주의 혁명이 서유럽에는 일어나지 않는 이유는 국가와 구별되는 강력한 시민사회가 버티고 있고, 그 시민사회를 지배계급이 헤게모니적으로 지배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함 2) 시민사회는 동의나 헤게모니(정치적 지도력)에 의해 지배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파악 3) 헤게모니 지적·도덕적·정치적 지도력으로 지배계급이 그들의 지적·도덕적·정치적 지배력을 사용하여 자신의 세계관을 피지배계급에 주입함으로써 그들의 지배를 관철하는 것 2.
하버마스의 공론장과 체계-생활세계 이론 1) 공론장 정치적 지배와 억압에 저항하는 토론적 의지가 형성되고 교류되는 곳 2) 체계-생활세계 (1) 체계 목적 합리성과 효율성의 원리에 의해 작동 (2) 생활세계 의사소통적 합리성의 원리에 의해 작동 (3)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체계가 생활세계에 대한 침투를 통해 생활세계의 식민화가 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음(민주주의와 견제의 역할을 위해서)...
원문링크 : 시민사회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