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근대화 이론 1) 20세기 버전의 진화론으로 서구의 발전 방향을 답습하면 개발도상국들도 선진산업사회로 발전할 수 있다고 주장 2) 근대화이론의 비판 (1) 근대화이론이 전제하고 있는 근대화는 서구 중심의 시각일 뿐임 (2) 전통과 근대는 항상 이분법적이고 대립적인 것이 아니며, 서로 공존하며 조화를 이루기도 하는 점을 간과함 (3) 한 국가의 발전 방향의 다양성을 간과함 (4) 국가 단위의 설명에 치중함으로써 국제적이고 세계적인 요인을 고려하지 못함 2.
종속이론 1) 세계 체제는 중심부와 주변부로 구성됨 2) 중심부와 주변부는 지속적 구조적 관계로서 발전과 저발전으로 양극화 됨 3) 종속 이론의 공헌 (1) 사회발전을 국제적 힘의 관계에서 조명함 (2) 서구식 모델이 반드시 사회 발전을 가져오는 것이 아니며, 저발전 국가가 선진국과의 종속 관계에서 벗어나 주체적인 발전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음 4) 종속이론에 대한 비판 (1) 중남미 국가들의 경우를 토대로 ...
원문링크 : 사회변동론(근대화이론. 종속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