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발달과정(1)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발달과정(1)

1. 교수요목의 시기(1946 ~ 1954) 1) 광복 직후 미군정에서는 일본의 전체주의 교육의 잔재의 청산을 위해 진보주의 교육의 결과물인 사회과를 도입하기로 결정 2) 사회생활과라고 불림 3) 지리.

역사. 공민이 주요 교과 4) 교수요목은 학생들이 학습해야할 코스 혹은 교사가 학생에게 가리 치는 교수내용의 주제 또는 제목이라는 의미가 있었음 5) 초등은 통합적인 성격의 사회과를 구성하여 도입함 6) 중등은 통합적인 사회과 구성에 대한 합의에 실패하여 분과형태의 병합을 특징으로 함 2.

제1차 교육과정(1955 ~ 1963) 1. 초등, 중등은 사회생활과 명칭을 그대로 사용, 중등은 공민과목 존재 2.

고등 1) 교과명이 사회생활과에서 사회과로 변경됨(초등, 중등은 2차 교육과정에서 사회과로 변경됨) 2) 공민 대신 일반사회와 도덕이 신설됨(일반사회는 1차, 2차 교육과정에만 존재함) 2. 제2차 교육과정(1963 ~ 1973, 박정희 정권) 1) 초등, 중등의 사회생활과는 사회...



원문링크 :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발달과정(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