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 1960~1970년대 신사회과운동 1) 신사회과 운동의 배경 (1) 냉전시대의 시작과 스푸트니크 충격 이후에 사회과는 사회문제 중심의 교육과정에서 학문중심 교육과정으로 방 향을 선회하게 됨 (2) 브루너의 교육의 과정 ① 학생들이 학문의 구조를 발견하도록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함 ②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내용의 범위와 깊이가 심화되는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해야한다고 주장함 ③ 이를 바탕으로 새롭게 등장한 사회과학중심의 사회과를 신사회과라고하며 이러한 운동을 신사회과운동이라고 함 2) 신사회과의 내용과 방법 (1) 배경 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자연과학에서 사용되던 연구방법이 사회현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사용되면서 사회과학이 급속히 발달함 ② 미국의 여러 사회문제에 대한 진단과 해결을 위해 사회과학의 지식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됨 (2) 교수방법 ① 발견학습 학문의 구조는 학생들 스스로 발견적 방법으로 체득(브루너 보고서의 핵심 내용) ② 탐구학습 학생들이 여러...
원문링크 : 미국 사회과 교육의 탄생과 발달과정(2) 신사회과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