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 1) 정치개혁 (1) 비변사 축소(이후에 폐지) (2) 의정부(정치) 부활 (3) 삼군부(군사) 부활 (4) 대전회통 편찬(통치 체제 정비), 정조 때 만든 대전통편을 보완하기 위함 2) 삼정의 개혁 (1) 호포제 실시, 호(집) 단위로 집마다 군포가 부과되어 양반에게도 군포를 징수 (2) 사창제 실시, 환곡의 폐단을 바로잡기 위함(마을의 덕망 있고 부유한 지방 유지에게 운영을 맡김) 3) 서원정리 및 경복궁 중건 (1) 서원정리 - 전국의 600여개 서원을 47개만 남기고 모두 철폐함 - 만동묘 철폐(사당) (2) 경복궁 중건 - 왕실 위엄과 권위를 세우고자 경복궁 중건 - 원납전 강제 징수(기부금, 내면 벼슬과 상을 줌) - 당백전 남발 2.
통상 수교 거부 정책과 양요 1) 병인박해(1866) 조선 정부가 프랑스 선교사 9명과 수천 명의 천주교도를 처형함 2) 제너럴셔먼호 사건(1866) - 통상을 요구하는 미국 상선 제너럴셔먼호가 평양 군민들에 ...
원문링크 : 흥선 대원군 집권 시기의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