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의 성립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의 성립

1. 훈구와 사림 1) 훈구 세조 집권에 공을 세운 세력 2) 사림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는 온건파 사대부의 후손, 서원과 향약을 세력 기반으로 함 2.

사림의 정치적 성장 성종 때 훈구 세력의 견제를 위해 많이 등용, 주로 삼사에 배치하여 훈구세력을 비판 3. 사화발생 1) 무오사화(연산군, 1498) (1) 김종직의 조의제문이 발단 (2) 훈구세력에 의해 사림세력이 큰 피해를 받음(김일손 등 사림세력 몰락) 2) 갑자사화(연산군, 1504) (1)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 사사 사건이 배경 (2) 김굉필 등이 처형됨, 훈구와 사림 모두 관련자들이 피해를 입음 3) 중종반정(1506) (1) 연산군의 폭정에 반발하여 연산군을 몰아내고 중종 즉위 (2) 조광조의 개혁 정치 - 경연강화 - 현량과 실시 - 소격서 폐지 - 위훈 삭제 4) 기묘사화(중종, 1519) (1) 조광조의 급진적인 개혁정치가 배경 (2) 조광조 등 사림세력 제거 5) 을사사화(명종, 1545) (1) 외척 ...



원문링크 : 사림의 대두와 붕당 정치의 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