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교통·통신제도 1) 역원제 = 공문서를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 마패 소지자에게는 역마 제공 2) 조운제 = 현물로 거둔 조세를 운반하기 위하여 설치 3) 봉수제 = 군사적으로 위급한 상황을 알리기 위해 마련됨 2.
관리 등용 및 인사제도 1) 과거제도 (1) 문과 - 생진과(소과)와 문과(대과)로 구성 - 소과 합격자는 성균관 입학 자격이 주어짐 - 문과 급제자는 홍패를 받음 (2) 잡과는 해당 관청에서 시행 (3) 정기시험은 식년시로 3년마다 실시, 부정기시험은 증광시(나라의 경사가 있을 때 실시)등이 있음 2) 기타관리등용제도 (1) 천거 = 고관의 추천으로 관직에 등용, 중종 때 조광조의 건의로 현량과 실시 (2) 취재 = 간단한 시험으로 하급 실무직 선발 (3) 음서 = 공신이나 고위관직의 자제를 대상으로 무시험 선발 3) 관리인사제도 (1) 상피제 = 친인척과 같은 부서에 근무하거나 출신 지역의 지방관으로 파견하지 못함 (2) 서경 = 5품이하의 관리 임용 시...
원문링크 : 조선 전기 통치 체제의 정비(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