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사회


고려의 사회

1. 귀족 공음전을 경제적 기반으로 삼음 2.

중류층 1) 남반 = 궁중의 실무 담당자 2) 향리 = 호장, 부호장 등이 지방의 행정 실무를 담당함 3. 양민 향·부곡·소의 주민은 다른 지역으로 이주하는 것이 금지되고 더 많은 세금을 부담 4.

천민 1) 공노비, 사노비 등이 있었음 2) 부모 중 한족이 노비면 노비로 결정(일천즉천) 5. 향도 1) 매향 활동을 하던 불교의 신앙 조직 2) 공동체 생활을 주도하는 농민 조직으로 발전(향약) 6.

사회제도 1) 흑창(태조), 의창(성종) =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설치 2) 상평창 = 개경, 서경, 12목에 설치하여 물가 안정에 노력 3) 동·서 대비원 = 환자치료와 빈민구제 4) 혜민국 = 의약 전담 5) 구제도감, 구급도감 = 재해발생 시 백성 구제 6) 제위보 = 기금을 모아 이자로 빈민을 구제 7. 혼인과 여성의 지위 1) 아들과 딸 구분이 없이 순서대로 족보에 기록, 자녀 균분 상속, 돌아가면서 제사 2) 사위와 외손자에게도 음...



원문링크 : 고려의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