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 시대의 경제·사회


남북국 시대의 경제·사회

1. 통일 신라의 경제 정책 1) 민정문서 - 매년 촌락의 변동사항을 조사하여 촌주가 3년마다 문서 작성 - 호구를 남녀별, 연령별도 구분하여 파악 - 가축 및 유실수의 현황도 기재 - 촌주에게 촌주위답을 지급(토지) - 일본 도다이사 쇼소인에서 발견 2) 토지제도 - 식읍 = 군공을 포상하기 위해 지급하는 토지로 노동력 징벌권 있음 - 녹읍 = 조세 수취와 노동력 징벌권 있음 - 관료전 = 조세를 수취할 권리만 지급(노동력 징벌권 X, 왕권강화의 목적) - 정전 = 농민에게 지급하는 토지(농민생활 안정을 추구) 2.

통일 신라의 경제활동 1) 울산항이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여 이슬람 상인들이 왕래 2) 장보고가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해상무역권 장악 3) 당나라와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져서 당나라에 신라방을 형성(유학생들의 반공과 응시) 3. 발해의 경제 발달 1) 특산품으로 솔빈부의 말이 유명 2) 말, 모피, 녹용, 인삼 등이 주요 수출품 3) 신라도 = 발해에서 신라로 이어지...



원문링크 : 남북국 시대의 경제·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