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김헌창의 난(822) 2.
장보고의 난(846) 3. 농민봉기발생 1) 원종과 애노의 난(889) 2) 적고적의 난(896) 4.
새로운 세력의 등장 1) 6두품의 반신라화 - 진골 귀족 중심 굴품제의 한계로 불만증 - 최치원 = 진성여왕에게 시무책 10여조 올림 - 골품제의 모순비판 + 새로운 정치 이념 제시(유학에 바탕) - 신라 말기에 호족들과 결탁하여 사회 개혁을 모색 2) 호족의 성장 - 호족들이 스스로 성주나 장군을 칭하면서 지방의 징세권, 행정권, 군사권 등 실질적인 지배권을 행사 3) 새로운 사상의 유행 (1) 선종 - 실천과 수행을 중시(교리와 경전을 중시하는 교종을 부정) - 호족의 지원으로 9개 종파인 9산 성립 (2) 풍수지리설 - 도선에 의해 널리 보급됨 - 지방의 중요성을 자각하여 호족의 사상적 기반으로 작용 (3) 미륵신앙 5. 후삼국의 성립 1) 후백제 - 견훤이 완산주(전주)에 도읍(900) - 중국과 외교관계를 맺음(후당, 오월에 사신 파견) -...
원문링크 : 신라 말의 혼란과 후삼국의 성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