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식사를 거르지만 오후가 되면 지치고 생산성이 떨어지는 자신을 발견한다.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 저렴한 아파트를 선택했지만 긴 출퇴근 시간으로 인해 오히려 시간과 에너지가 낭비된다.
가장 합리적인 선택을 하려고 노력했는데 어디서부터 무엇이 잘못된 걸까? 우리는 결정을 내릴 때 감정에 휩쓸리기 쉽다.
현재 상황을 살펴보고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는 미래의 결과를 추정하지만 우리는 종종 우리가 내리는 결정의 복잡한 파급 효과를 고려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매력적인 연봉의 일자리를 제안받고 회사의 문화나 장기적인 커리어의 전망을 고려하지 않고 즉시 수락한다고 가정해 보자.
당장의 이익에 기반한 이러한 빠른 결정은 1단계 사고의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제 잠시 멈춰서 연봉뿐 아니라 성장 기회와 일과 삶의 균형을 고려하여 채용 제안을 고려한다고 상상해 보라.
이보다 더 신중한 결정은 2단계 사고의 사례이다. 이 개념은 하워드 막스가 자신의 투자 철학과 변동성이 큰 시장...
#1차적사고
#2차적사고
#AnneLaureLeCunff
#투자에관한생각
#하워드막스
원문링크 : 레벨 업 사고 : 2단계 사고로 더 나은 결정을 내리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