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꺼이 위험을 추구할 것인가, 아니면 위험을 완화할 것인가?


기꺼이 위험을 추구할 것인가, 아니면 위험을 완화할 것인가?

우뚝 솟은 소나무 뒤로 석양이 지는 오거스타 내셔널(Augusta National)의 18번 홀에서 파를 기록한 스코티 셰플러(Scottie Scheffler)는 3년 만에 두 번째 마스터스 우승을 차지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전년도 우승자인 존 람(John Rahm)이 셰플러의 넓은 어깨에 그린 재킷을 걸쳐주며 셰플러는 세계 랭킹 1위로 확고히 자리매김했다.

시상식을 지켜보면서 지난 봄 스콧 반 펠트(Scott Van Pelt)가 셰플러와 람이 각각 정상에 오르는 과정에 대해 이야기할 때 했던 말이 떠올랐다. 두 선수의 평균 타수(약 68.6타)가 거의 비슷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두 선수가 걸어온 길은 매우 비슷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내 생각은 완전히 틀렸다.

지난 시즌 중반까지 라운드당 평균 5.5개 이상의 버디를 기록했는데, 2000년 이후 PGA 선수로는 처음으로 평균 5.5개 이상의 버디를 기록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람의 상승세는 '위험 추구 risk-seeking'에서 비...



원문링크 : 기꺼이 위험을 추구할 것인가, 아니면 위험을 완화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