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지식이 왜 필요한가? ft. 책맹인류


배경지식이 왜 필요한가? ft. 책맹인류

초등학생 야구부원 10명과 야구에 문외한인 성인 10명을 2 그룹으로 나누고 3분간 야구 경기의 한 장면을 묘사하는 글을 읽고 이를 재현하는 실험에 참가했다. 아무리 어휘를 많이 아는 어른일지라도 평소에 야구에 지식이 없으니 길지 않은 글임에도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고 기억을 잘 하지 못해 재현하는데 10분 이상이 걸렸다.

어른 그룹은 단어가 뭘 의미하는지도 잘 몰랐는데 좌타자(왼손 타자)가 왼쪽에 서는 타자라고 생각하고 자동고의사구가 무슨 말인지 고민했다.(덕아웃에서 콜을 보내면 투수는 볼을 던지지 않고 타자에게 볼넷을 주어 1루에 출루하게 하는 것.)

야구에 대한 기본 지식이 없으니 글을 읽었어도 제대로 재현할 수 없었다. 반면에 초등학생 아이들은 야구단 활동을 하고 있기에 그 모든 상황을 대부분 이해하고 재현하는데 1분 정도의 시간밖에 걸리지 않았다.

현재 어떤 상황으로 루상에 주자가 몇 명 있는지 등을 떠올릴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배경지식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이...


#독서 #문해력 #배경지식 #이해력 #읽기 #책맹인류

원문링크 : 배경지식이 왜 필요한가? ft. 책맹인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