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역동적 대상관계 가족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완벽한 엄마보다 이만하면 좋은 엄마가 좋은 이유를 설명하고 구체적인 양육방식 및 결과의 차이를 논하시오.


정신역동적 대상관계 가족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완벽한 엄마보다 이만하면 좋은 엄마가 좋은 이유를 설명하고 구체적인 양육방식 및 결과의 차이를 논하시오.

완벽한 엄마는 첫 번째로 아이의 모든 욕구를 충족시켜주고자 행동한다. 두 번째로 부모가 자녀 욕구를 잘못 판단할 수도 있는데 부모가 자녀 욕구를 지나치게 만족시키려다가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면 부모가 원하는 욕구를 자녀를 통해 충족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습은 자녀가 가짜 자신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만하면 좋은 엄마는 첫 번째로 자기와 세상을 탐색하도록 충분한 거리를 유지한다.

두 번째로 엄마에게 돌아오고자 하는 행동을 보인다. 엄마는 충분히 수용하는 자세로 유아를 받아들여 주는데 엄마에게 돌아온 유아는 엄마의 돌봄과 보살핌을 통해 불안과 두려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부모 아래에서 자란 자녀는 진짜 자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완벽한 엄마가 자녀가 공부에 대한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여겨 자녀의 공부에만 매달리게 되면 자녀는 공부에 관심이 없더라도 엄마가 바라는 대로 공부에만 매달리고 자신을 공부 잘하는 아이로 생각하도록 만든다.

하지만 이는 자신을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해 ...



원문링크 : 정신역동적 대상관계 가족치료 모델에 근거하여 완벽한 엄마보다 이만하면 좋은 엄마가 좋은 이유를 설명하고 구체적인 양육방식 및 결과의 차이를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