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의 흐름에 따른 복식문화의 변화로 받아들여야 할까요? 아니면 전통 보존을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 한복의 정통성을 고수해야 할까요?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복식문화의 변화로 받아들여야 할까요? 아니면 전통 보존을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 한복의 정통성을 고수해야 할까요?

나는 다양한 한복에 대해서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개량한복이 많이 나오게 되면서 한복의 전통과 관련하여 정체성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

한복의 전통 보존을 위해서 기존의 한복 스타일을 지켜 나가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한복은 우리나라의 복식을 통틀어서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정한 스타일이 전통이 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고구려, 신라, 고려 등의 시대를 거쳐왔고 이들 시대에 입었던 복식이 모두 한복이다.

한국의 마지막 왕조가 조신이기 때문에 조선왕조의 한복이 가장 우리 눈에 익숙하지만 조선의 전통 복식이 한복 그 자체를 대변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조선의 한복도 초기에는 고려의 복식과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시대가 흐르면서 저고리가 짧아지게 되는 변화를 거쳤다. 이를 보면 조선의 한복 역시 고려의 전통 한복에서 벗어난 것이다.

복식이라는 것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새로운 한복 형태를 복식문화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최근에 많이 보이는 ...


#다양한한복의등장 #복식문화의변화 #한복의변신 #한복의정체성논란

원문링크 : 시대의 흐름에 따른 복식문화의 변화로 받아들여야 할까요? 아니면 전통 보존을 더욱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 한복의 정통성을 고수해야 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