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들의 자녀교육에 가족 전체 자원을 투입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기러기 가족'이라는 가족형태를 낳기도 하였는데, 기러기 가족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한국인들의 자녀교육에 가족 전체 자원을 투입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기러기 가족'이라는 가족형태를 낳기도 하였는데, 기러기 가족의 가장 큰 문제점은?

'기러기 가족'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가족으로서의 결속력을 약화시킨다는 점이다. 결속력이 약화된 가족은 흩어지기 쉽다.

흩어지는 과정이 다른 가족보다 쉽고 빠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가족 형태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 희생하고 있다는 '자기 피해의식'을 갖게 하기 쉽다고 생각한다.

한국에서 돈을 벌어 경제적 지원을 하는 가족 구성원(주로 아버지)은 자신이 희생이 있기에 나머지 가족이 행복하다고 생각한다. 반대로 외국에서 자녀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가족 구성원(주로 어머니)은 자신이 타국에서 힘들게 자녀를 케어하고 있기 때문에 가족이 평화로울 수 있고 발전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자녀는 어떨까? 자녀도 상황을 모를 리 없다.

그래서 더 잘해야 한다는 압박감을 받기 쉽다. 그리고 어쩌면 자녀는 그런 상황을 원치 않았을지도 모른다.

그래서 이런 가족은 갈등 상황에서 말다툼 끝에, '너만 힘들어? 나도 힘들어,라는 말을 많이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자기 피해의식에 따른 희...


#기러기가족 #한국인들의자녀교육

원문링크 : 한국인들의 자녀교육에 가족 전체 자원을 투입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기러기 가족'이라는 가족형태를 낳기도 하였는데, 기러기 가족의 가장 큰 문제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