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의 대내적을 기능은 '고유 기능'이라고 바꿔 말할 수 있는데, 이는 가족구성원에 관한 대내적인 기능으로서 애정의 기능, 성의 기능(성적 통제), 생식과 양육의 기능 등이 포함된다. 가족 구성원의 중심인 부부는 성욕을 충족하게 되면 이를 통해 출산을 하게 된다.
출산은 가족이 갖는 중요하고 유일한 기능이다. 이러한 대내적 기능은 다른 방법으로 대신하거나 위임할 수 없기 때문에 고유 기능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최근 저출산(저출생)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이는 아이를 낳지 않는 부부가 많아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결혼을 통해 가족이 된 이후 부부가 성적 욕구를 해소하는 기능은 수행하되, 그에 뒤따르는 생식 기능은 수행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저출산은 자연스러운 행위라기보다는 고의적인 행위에 가깝다.
고의적으로 생식 기능이 저하되다 보니 양육의 기능 또한 자연스럽게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고의성을 바꿔 말하면 중요도의 하락이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과거에는 가족을...
#가족의대내적고유기능
#가족의대내적기능들
#생식과양육의기능
#성의기능
#성적통제
#애정의기능
원문링크 : 가족의 대내적 기능들(성적 통제, 애정의 기능 등) 중에서 자신이 생각하기에 과거에 비해 현대 사회에서 중요도가 낮아진 기능은 무엇이고 낮아진 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