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지법이라고 하는 것은 다수를 대상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조사 방법에 해당한다. 그러나 질문에서 제시하는 것과 같이 질문이 100개가 넘는다면 그리고 심지어 대상자가 노인이라고 한다면 그러한 질문지법의 경우에는 좋은 조사 방법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그러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성인과 다르다.
오래 집중을 하는 것 자체가 어려울 것이며 처음에는 문항에 진실성이 있지만 이후에 후속 질문으로 넘어갈 때 우리는 진실성 자체가 없는 대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둘째, 오히려 그러한 질문지를 노인에게 제시한다면 참여를 하고자 했던 노인의 경우에도 반대로 참여를 꺼리는 일이 생길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그렇게 되면 결과적으로 일부의 노인들에게만 의견을 들을 수 있다. 그렇다면 해당의 문제에 대해서 본인이 생각하는 개선의 방안은 문항의 수를 반 이상 줄이는 것이다.
문항에서는 비슷한 것을 물어보는 경우도 있을 것이고 의도가...
#노인대상질문지법
#질문지법
#행복과관련한기존척도
원문링크 : '행복'과 관련한 노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노인들이 대답하기 쉽지 않은 상황에서 그대로 사용할까? 아니면 문항을 줄여야 할까?에 의견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