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회복지사는 현장에서 일을 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윤리적 갈등을 마주하게 된다. 이 상황도 역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가족에 대한 무개입을 원하고 있으며 반대로 사회복지사는 가정폭력의 상황을 알게 되었을 때, 이를 고발해야 하는 의무에서 딜레마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가정폭력의 심각성에 대해서 파악하려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심각하지 않은 정도라고 하면 간접적인 개입을 하되 동시에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수용해서 치료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렇다.
그러나 가정폭력이라고 하는 상황을 보았을 때 매우 심각한 상황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 그다음으로는 클라이언트에게 자신이 어떠한 결정을 할 것인지 먼저 알리는 것이 필요하다. 클라이언트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개입을 하게 되면 아무래도 개입에 있어서 주체가 클라이언트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보장하지 않는 점이라는 점에서 그렇다.
그리고 가정폭력이 지속되었을 때도 역시 결과적으로 가정이 해체될 가능성이 ...
#가정폭력방지법
#사회복지사딜레마
#사회복지사윤리적딜레
#아버지에게학대
#학대가정의아동
원문링크 : 아버지에게 학대를 당하고 있지만 어머니는 가정이 해체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고발의 의무와 어머니의 자기결정권 사이 사회복지사는 어떻게 처리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