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별 차이점을 분석해 본 것은 다음과 같다. 먼저 영어의 자음은 'ㄹ' 발음이 r과 ㅣ로 나누어지며, 이는 모두 한국어의 'ㄹ'발음과는 사실상 다른 발음이다.
또한 'ㄷ' 발음이 d와 t로 나누어진다.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사람들에게 '달님'의 'ㄷ'과 '윤달'의 'ㄷ'는 동일하게 인식되나, 국제표준 발음기호 IPA에 의하면 'taʎʎim'과 'yundal'로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달님'을 발음할 때 '탈님'으로 발음하느느 오류를 보일 수 있다. 같은 원리로 'ㄱ'발음 또한 'g'와 'k'로 갈라진다.
'가지'와 '온갖'의 발음기호는 kadzi'와 'ongat'으로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영어를 모어로 하는 학생들은 이러한 모음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한국의 'ㄹ'발음의 조음 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ㄹ'이 들어간 단어를 많이 듣고 따라 해 볼 수 있도록 해야 ㅎ나다. 그리고 'ㄷ'과 'ㄱ'에서 지나치게 강한 소리인 ' t'와 ...
#모음의특성
#언어권별한국어
#언어자음
#한국어자음
원문링크 : 한국어 자음, 모음의 특성을 다른 언어 자음, 모음의 특성과 비교하여, 이를 토대로 언어권별 한국어 학습자에게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지 논의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