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에서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고 공적인 자리에서 자신의 의견을 이야기하는 발언권이 주어지는 기회가 생기는 기준은 학력이라고 생각한다. 성별과 학력, 집안 배경, 외모 등 그 사람의 조건을 보지 않고 면접을 보는 블라인드 면접이 생겼다고는 하지만, 지금까지 취업함에 있어서 가장 많이 고려되는 부분은 바로 '학벌'이라고 생각한다.
그 사람이 어디 학교를 졸업했는지, 어느 정도 수준의 지식을 겸비했는지 등의 배경은 그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 잣대가 되어 서류 전형에서부터 어느 정도의 평가가 완료된다.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해 학력은 나의 가치를 증명하는 명패가 되며, 학력이 높으면 그 사람을 우러러보거나 무시하지 못하는 분위기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래서 사람 대부분은 더 좋은 대학에 가기 위해 노력하고 더 좋은 곳에 취업하기 위해 자격조건을 쌓으며,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지기 위해 끊임없이 공부한다. 개인적으로 학력이 높다고 해서 그 사람의 인성이나 품성이 좋은 것은 아니라고 생...
#우리나라교육열
#우리나라에서학력의가치
원문링크 : 우리나라에서 학력의 가치와 교육열에 대한 본인의 견해는 어떠한지 논의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