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생들은 부모 및 교사들로부터 큰 영향을 받게 된다. 학생들은 실제로 전문상담교사와 만나는 시간에 비해 학부모나 교사와 함께 있는 시간이 훨씬 더 많다.
따라서 자문을 통하여 부모와 학생 간, 교사와 학생 간 관계를 향상시키는 것은 자문은 위험군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좀 더 적극적인 개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효율적인 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사실 전문상담교사가 학교 안의 모든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다.
아울러 좀 더 위험한 상황에 있는 학생들은 상담 교사를 찾아오는 자발적 양상의 내담자들이 아니라,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 못하고 숨기는 학생들이다. 이와 같은 학생들은 자신의 문제를 학부모 및 교사의 도움과 관심이 없이 해결하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전문가는 학부모 및 교사를 대상으로 학생과의 관계 개선을 위한 자문을 진행해야 할 뿐만이 아니라, 사전에 위험군 학생을 선별해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할 수 있어야 한다...
#상담
#자문
#조정
#학교상담의핵심적내용3C
원문링크 : Schmidt는 학교 상담의 핵심적 내용을 3C Counseling(상담), Consulting(자문), Coordinating(조정)로 요약했다. 자문의 역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