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의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시행하고 있는 9시 등교제는 학생의 수면 시간을 보장하기 위하여 등교 시간을 늦춘 제도이다. 9시 등교제에 대해 찬성하는 사람들은 급식을 싫어하는 아이에게 집에서 아침밥을 먹고 갈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하고 반대하는 사람들은 맞벌이 부부에게 부담이 된다는 의견을 나타내기도 한다. 나는 이러한 9시 등교제에 반대하는 태도다.
점차 우리 사회에서 맞벌이 부부가 늘어나고 있는데 9시 등교제는 부모가 회사에 출근한 뒤 잠이 들어 자녀가 학교에 늦는 모습도 종종 나타나고 학교에 간다고 하고 실제로는 가지 않는 등의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생들은 사교육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 우리나라 현실인데 등교가 1시간 빨라지게 되면 하교는 1시간 늦어지게 되고 학교가 끝난 뒤 이루어지는 사교육 또한 1시간 늦게 끝나게 된다.
취침 시간이 늦어지는 것은 성장호르몬 분비를 방해하는 것이므로 9시 등교제에 따라 아침에 늦게 일어나는 것은 가능...
#9시등교제
#청소년복지
원문링크 : 청소년 복지 차원에서 9시 등교제를 바라보는 다양한 시각에 대해서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고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